최근 정보통신(IT) 분야에서는 구글의 챗봇 '바드'와 오픈 AI의 '챗GPT'의 성능 차이에 대한 궁금증이 커져가고 있습니다. 구글의 바드는 최신 대규모 언어 모델(LLM)인 제미나이를 적용한 반면, 챗GPT는 GPT-4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챗봇 성능비교, 응답별 차이점 정리
IT 매체인 '더버지'는 두 챗봇에 동일한 질문을 던져 성능을 비교한 결과를 보도하였습니다. 둘 다 가장 최신 정보를 학습하여 질문에 빠르게 답했지만, 바드가 챗GPT보다 답변하는 속도가 약간 느렸습니다.
'초콜릿 케이크 레시피' 요청에 대한 응답
"초콜릿 케이크 레시피를 주세요"라는 요청에 대해 두 챗봇은 각각 다른 레시피를 제공하였고, 두 레시피 모두 만족스러웠습니다. 바드가 제공한 케이크는 촉촉하고 맛있었으며, 챗GPT가 제공한 케이크는 부드러워서 아침식사로도 좋을 것 같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차에 대한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
"차에 대해 더 배우고 싶다"는 질문에 대해, 두 챗봇은 차의 기원, 종류, 건강 이점, 차를 끓이는 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습니다.
바드는 추가로 관련 기사 링크를 제공하였고, 챗GPT는 차의 문화적 중요성과 주요 생산지 등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하였습니다.
'셰익스피어의 시에 대한 질문'에 대한 응답
셰익스피어의 '소네트 116'에 대한 질문에, 바드는 시의 주제, 요약, 의미 등을 알려주어 시험공부에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제공하였고, 챗GPT는 음절 단위로 분석한 정보를 제공하였습니다.
서로 다른 반응에 대한 예시
하지만 '에밀이라 데이비드'라는 기자의 전기를 써달라고 요청했을 때, 챗GPT는 관련 정보를 제공했지만 바드는 "충분한 정보가 없다"라고 답변하였습니다. 또한 바드는 답을 제공하는데 5∼6초가 걸렸지만, 챗GPT는 1∼3초 밖에 걸리지 않았습니다.
두 챗봇의 주요 차이점
두 챗봇에는 몇 가지 주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챗GPT는 월 20달러의 이용료가 발생하지만, 바드는 무료로 제공됩니다.
챗GPT는 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을 인식하는 멀티모달 기능이 있지만, 바드는 이 기능이 없습니다. 하지만, 내년 초 출시되는 제미나이 울트라 버전에서는 이 기능이 제공될 예정입니다.
이와 같이 구글의 바드와 오픈 AI의 챗GPT는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하면 됩니다. 현재는 챗GPT가 나아 보이긴 하지만, 거대한 IT기업인 구글이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바드가 향후 더 나은 선택이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듭니다.
'시끌벅적 쉬지않는 부부의 수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되는 애경산업 성장과정 및 향후 주가 전망 정리 (1) | 2023.12.24 |
---|---|
이문2구역 재개발 사업 승인으로 동북권 최대 재개발지역이 된 이문 휘경뉴타운 (1) | 2023.12.23 |
포스코 포항제철소 화재원인, 피해상황, 피해액, 재개 상황 정리 (1) | 2023.12.23 |
배터리 아저씨 박순혁 작가 금감원으로부터 압수수색, 신당창당 이유? (1) | 2023.12.22 |
솔루스첨단소재 100% 무상 증자 결정 배정 기준일, 주식 발행일, 재무평가 정리 (1) | 2023.1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