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평범하지만 행복한 부부의 일상

심리학자들의 사랑의 삼각이론에 근거한 사랑에 대한 분석

by treenare 2022. 1. 29.
반응형

생물학자나 뇌과학 연구자들은 사랑의 호르몬, 신경 화학 물질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심리학적인 관점에서 사랑의 삼각 이론으로 사랑을 어떻게 정의하는가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사랑의 삼각 이론 

대표적인 심리학자 관점에서 사랑에 대한 이론 중 사랑의 삼각 이론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심리학자 스턴버그라는 사람이 제시한 이론입니다. 

 

사랑의 삼각 이론이라는 것은 사랑에 구성 요소가 세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첫 번째는 친밀감, 두 번째는 열정, 세 번째는 헌신 또는 책임감, 약속 등으로 쓸 수 있습니다. 

 

친밀감은 정서적요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랑을 할 때 느끼는 따뜻한 감정의 체험을 친밀감이라고 얘기할 수 있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을 존중하는 마음, 사랑하는 사람과 친밀한 의사소통, 상호 이해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소유물을 공유하려는 것들이 모두 다 친밀감의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열정은 육체적 요인입니다. 상대방에 느끼는 신체적인 매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헌신 또는 책임감 같은 말은 인지적인 요인입니다. 사랑을 지속시키기 위해서 얼마나 이성적인 노력을 하는지가 바로 헌식 혹은 책임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입니다. 

 

3요소의 특징

그런데 이런 헌신, 책임감, 약속 같은 경우에는 약속은 하고 헌신을 하지 않는 경우가 있고 약속을 하지 않았는데도 헌신적인 모습을 보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통시대의 결혼과계를 한번 본다면 전통시대 같은 경우에는 내가 결혼을 했는데 결혼한 남편이 별로 마음에 들지 않지만 이혼을 하기 어려운 상황이니 그냥 살게 됩니다. 

 

이 경우에는 내가 그 사람에게 헌신을 하겠다고 약속을 하지 않았지만 어쩔 수 없이 헌신을 하게 되는 경우가 됩니다. 대체로 할머니, 할아버지 세대들에서도 있었던 일들이기도 합니다.

 

 

구성요소의 안정성, 통제력 측면에서의 분석

사랑의 삼각형의 구성 요소를 보면 친밀감과 열정, 헌신 중 안정성의 측정면에서 열정이 안전성이 매우 낮습니다. 열정은 감정적인 변화에 따라 심하게 왔다 갔다 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성이 조금 떨어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약속하겠다는 마음, 책임감을 가지고 있는 마음은 어느 정도 안정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열정은 자신의 통제력이 조금 낮습니다. 이유는 상대방이 나에게 뭐라고 좋은 말을 하면 기분이 좋아졌다가 사랑하는 사람이 나에게 뭐라고 하면 기분이 다시 우울해집니다. 자신을 통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헌신의 마음은 자신의 통제력이 높습니다. 이렇게 하더라도 이 사람에게 헌신하고 약속을 지켜야겠다는 마음이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장기적 관계와 공통분모 관점에서의 요소 분석

친밀감 같은 경우는 장기관계에서 참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어떤 사람과 내가 친밀한 상태를 가지려면 시간적으로 어느 정도 기간이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친밀감을 만들어내기 어렵습니다. 

 

약속이나 책임감 같은 요소들도 마찬가지 입니다. 장기 관계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사랑의 공통분모를 놓고 본다면 친밀감이 많은 두 사람은 공통분모가 많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열정으로 만들어진 두 사람의 관계는 아직 공통분모가 적은 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열정만 있지 두 사람이 많이 친밀한 상태로 다가간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공통분모가 적습니다. 

 

심리적 관계나 민감성을 보면 열정은 심리적 관여를 많이 합니다. 상대방에 대해서도 민감합니다. 열정이 있는 사람은 상대방이 무엇을 하는지 어떻게 하는지 등 상대방에 대해서 심리적인 관여가 많아지는 편입니다. 

 

반응형

댓글